영광의 면류관 – 목자의 마음으로 양 떼를 섬기는 자의 상급
본문: 베드로전서 5장 1–4절
우리는 무엇을 위해 섬기고 있는가? 오늘날 교회와 세상에서 리더십에 대한 관심은 매우 크고, 많은 사람이 그 자리를 권위와 명예의 자리로 인식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리더십을 전혀 다른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그것은 다스리는 자리가 아니라, 섬기는 자리요, 무게 있는 책임과 희생의 부르심입니다. 오늘 본문은 영광의 면류관에 대해 말합니다. “그리하면 목자장이 나타나실 때에 시들지 아니하는 영광의 면류관을 너희에게 주시리라.” (벧전 5:4) 이 면류관은 누구에게 주어지는가? 하나님께서 맡기신 양 떼를 사랑으로, 인내로, 그리고 본이 되어 돌본 자에게 주시는 상급입니다.
베드로는 자신도 장로라고 말하며, 다른 장로들에게 권면합니다. 목자의 사명을 맡은 자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가르쳐 주며, 그것이 곧 시들지 않는 영광의 면류관으로 연결된다고 말합니다. 이는 단지 교회의 목회자만을 위한 말씀이 아닙니다. 부모로서, 교사로서, 리더로서, 친구로서 누군가를 인도하고 섬기는 모든 사람에게 해당됩니다. 누군가의 신앙을 위해 눈물로 기도하고, 사랑으로 돌보며, 묵묵히 헌신하고 있다면, 이미 그 길을 걷고 있는 것입니다.
베드로는 섬김에 있어 세 가지 태도를 강조합니다. 첫째는 자원함입니다. “억지로 하지 말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자원함으로 하며.” (5:2) 억지로 하는 섬김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그 마음은 지치기 쉽고, 상처를 쉽게 받으며, 결국엔 포기하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자원하는 마음을 기뻐하십니다. 주님의 은혜에 감동되어 기꺼이 손을 내미는 자, 누가 시키지 않아도 나서서 섬기는 자, 그가 영광의 면류관을 바라보는 삶을 사는 사람입니다.
둘째는 순수한 동기입니다. “더러운 이익을 위하여 하지 말고 기꺼이 하며.” (5:2) 때로 섬김은 사람의 인정이나 보상, 혹은 영향력의 수단으로 변질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영광의 면류관은 사람에게서가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주님은 마음을 감찰하십니다. 그 동기가 사랑인가, 이익인가, 영광인가를 보십니다. 기꺼이 하는 섬김, 대가를 바라지 않는 손길, 조용히 묵묵히 행하는 사랑, 그런 사람에게 하늘의 면류관이 예비되어 있습니다.
셋째는 삶의 본이 되는 자세입니다. “맡은 자들에게 주장하는 자세를 하지 말고 양 무리의 본이 되라.” (5:3) 진짜 목자는 말로 지시하지 않습니다. 먼저 앞서가며 보여줍니다. 예수님께서 그러셨듯, 자신이 친히 발을 씻기며 섬김의 본을 보이셨습니다. 참된 리더는 따르게 하는 사람이 아니라, 따라가고 싶게 만드는 사람입니다. 성도는 목자를 보고 배우고, 자녀는 부모를 보고 자라며, 새신자는 교사의 삶에서 신앙을 배웁니다. 말보다 중요한 것은 삶이며, 그 삶이 본이 될 때에야 참된 목자입니다.
이 모든 섬김의 끝에서 주님은 말씀하십니다. “목자장이 나타나실 때에 시들지 아니하는 영광의 면류관을 너희에게 주시리라.” (5:4) 목자장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를 위해 목숨까지 내어주신 분입니다. 그분은 양의 이름을 아시고, 길을 잃은 양을 찾아다니시며,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누군가를 섬길 때, 주님의 그 심정으로 감당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사랑, 예수님의 인내, 예수님의 희생을 우리의 마음속에 품고, 동일하게 사랑하고 인내하며 섬길 때, 주님은 그 수고를 잊지 않으십니다.
사람들의 박수는 시듭니다. 알아주는 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우리의 수고는 하늘의 책에 기록됩니다. 고린도후서 4장 17절은 말합니다. “우리가 잠시 받는 환난의 경한 것이 지극히 크고 영원한 영광의 중한 것을 우리에게 이루게 함이니.” 지금의 섬김이 힘들고, 눈물이 흐르고, 외로워 보일지라도, 그 모든 시간은 영광의 면류관으로 바뀔 것입니다. 하나님은 아무것도 잊지 않으십니다. 단 한 번의 기도, 단 한 번의 눈물, 단 한 번의 헌신까지도 다 기억하시며, 그날에 직접 면류관으로 갚아주실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합니다. 나는 지금 누구를 섬기고 있는가? 나는 어떤 마음으로 그를 돌보고 있는가? 내 섬김은 자원하는가, 억지인가? 주님의 영광을 위한가, 사람의 인정을 위한가? 그리고 나는 본이 되고 있는가, 말로만 지시하는 자에 머물러 있는가? 목자장은 살아계시며, 반드시 다시 오십니다. 그리고 그날, 시들지 않는 면류관을 친히 손에 들고 당신을 기다리실 것입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섬김의 자리를 포기하지 마십시오. 그것이 곧 면류관의 길입니다. 우리가 돌보는 그 한 사람, 우리가 품는 그 한 영혼이 우리에게 영광이 되며, 우리에게 상급이 됩니다. 영광의 면류관은 크고 화려한 자리에서가 아니라, 낮고 조용한 자리에서 준비됩니다. 오늘도 주님의 이름으로 누군가를 위해 기도하고, 돌보고, 눈물 흘리고 있다면, 이미 당신은 그 면류관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것입니다.
끝까지 충성하십시오. 목자장이 나타나실 때, 주님은 말씀하실 것입니다.
“잘하였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이제 시들지 않는 영광의 면류관을 네게 주노라.”
그날을 소망하며 오늘도 묵묵히 섬김의 길을 걸어갑시다. 하늘의 면류관은 결코 시들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