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8장 12-13절
“넷째 천사가 나팔을 불매 해 삼분의 일과 달 삼분의 일과 별들의 삼분의 일이 타격을 받아 그 삼분의 일이 어두워지니 낮 삼분의 일은 비췸이 없고 밤도 그러하더라.  내가 또 보고 들으니 공중에 날아가는 독수리가 큰 소리로 이르되 에 사는 자들에게 화, 화, 화가 있으리니 이는 세 천사들이 불어야 할 나팔 소리가 남아 있음이로다 하더라” 


본문에 기록된 네째 나팔 재앙의 말씀을 통해, 하나님께서 세상을 향하여 어떤 경고의 메시지를 전하고 계신지를 깊이 묵상해 보고자 합니다. 이 말씀은 단순한 자연현상에 대한 묘사가 아닙니다. 해와 달, 별들이 어두워진다는 이 장면은 하나님의 심판이 우주적 규모로 확장되고 있다는 중대한 영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말씀입니다.


본문에 따르면, 네째 천사가 나팔을 불었을 때 해와 달, 별들의 삼분의 일이 타격을 받아 어두워졌다고 말씀합니다. 이는 단순히 광원의 밝기가 삼분의 일로 줄어들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낮과 밤의 삼분의 일 시간 동안 빛이 완전히 사라지는, 전례 없는 혼돈과 불안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해석은 학자 플루머(Plummer)에 의해 뒷받침되며, 이는 낮과 밤의 일부 시간이 빛 없이 어두워진다는 상징적 해석입니다.


이 어두움은 출애굽기의 구절을 떠올리게 합니다. 하나님께서 애굽 땅에 내리신 아홉째 재앙은 “혹암”이었습니다. 출애굽기 10장 21-23절을 보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하늘을 향하여 네 손을 내밀어 애굽 땅 위에 흑암이 있게 하라… 사람들이 서로 볼 수 없으며 자기 처소에서 일어나지 못하되”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혹암의 재앙은 단순한 자연적 어두움이 아닌, 하나님의 현존하심과 심판이 동시에 드러나는 거룩한 두려움의 사건이었습니다.


이와 유사한 모습은 이미 요한계시록 6장 12-13절, 여섯째 인이 떼어질 때도 나타납니다. “큰 지진이 나며 해는 검은 털로 짠 상복 같이 검어지고 온 달은 피 같이 되며 하늘의 별들이 무화과나무가 큰 바람에 흔들릴 때에 떨어지는 것 같이 땅에 떨어지며”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네째 나팔 재앙이 단순한 경고가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와 공의의 심판이 심화되어 나타나는 것을 상징합니다.


성경은 어두움이 단지 외적인 현상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진노와 인간의 불순종에 대한 결과로 자주 묘사됩니다. 이사야 13장 10절은 바벨론 멸망에 관한 예언에서 “하늘의 별들과 별 무리가 그 빛을 내지 아니하며 해가 돋아도 어두우며 달이 그 빛을 비치지 아니할 것이로다”라고 말씀합니다. 또한 이사야 24장 23절에서는 “그 때에 달이 수치를 당하고 해가 부끄러워하리니”라고 하며, 하나님이 친히 나타나실 때 천체의 질서가 흔들린다고 말합니다. 예레미야 15장 9절, 에스겔 32장 7절, 아모스 8장 9절 등에서도 유사한 묘사들이 반복되어 나타납니다. 모두가 하나님께서 세상을 심판하실 때, 하늘의 빛들이 어두워지는 상징적 사건으로 드러납니다.


신약에서도 동일한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 달리셨을 때, 마태복음 27장 45절은 이렇게 증언합니다. “제육시로부터 온 땅에 어둠이 임하여 제구시까지 계속되더니.” 예수님께서 우리 죄를 대신하여 죽으실 때, 세상은 자연스럽게 어두움에 잠겼습니다. 이것은 단지 태양이 가려진 것이 아니라,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와 그리스도의 희생이 교차하는 신비롭고도 거룩한 순간이었습니다.


이처럼 어두움은 성경에서 항상 하나님께서 임하실 때, 혹은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때 등장합니다. 이는 두려움의 상징이자 동시에 회개로 이끄는 신호입니다. 고린도전서 1장 18절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십자가는 구원과 심판이 만나는 자리이며, 빛과 어두움의 경계선에 선 사건입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성도에게는 생명의 빛이지만, 불신자에게는 어두움과 심판이 되는 것입니다.


본문에서 해와 달과 별들의 삼분의 일이 타격을 받아 어두워진다는 것은 창조 질서의 일부가 무너짐을 상징합니다. 창세기 1장에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첫 번째 질서는 빛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빛의 질서가 어그러지는 것은, 인간의 죄악이 하나님의 창조를 무너뜨릴 만큼 심각하다는 경고입니다. 또한 이는 하나님의 심판이 더 이상 부분적인 자연재해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이 의존하는 시간과 생명, 삶의 질서 자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제 우리는 13절의 말씀으로 이어지는 하나님의 경고를 들어야 합니다. “내가 또 보고 들으니 공중에 날아가는 독수리 하나가 큰 소리로 이르되 땅에 사는 자들에게 화, 화, 화가 있으리니 이는 새 나팔 소리가 아직 세 천사에게 남아 있음이로다 하더라.” 이 장면은 다섯째, 여섯째, 일곱째 나팔 재앙이 더욱 심각한 재앙이 될 것임을 예고하며, “땅에 사는 자들”, 곧 하나님의 뜻을 거부하고 불순종하는 자들에게 임할 확실한 경고입니다.


구약에서 독수리는 종종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신명기 28장 49절에서는 “여호와께서 땅 끝에서 한 민족을 독수리가 날아오는 것 같이 너를 치러 오게 하시리니”라고 하였고, 예레미야 48장 40절과 에스겔 17장 3절, 호세아 8장 1절에서도 독수리는 빠르게 다가오는 하나님의 심판을 알리는 존재로 묘사됩니다. 이 독수리는 하나님의 사자처럼 나타나 마지막 세 나팔의 재앙을 “화, 화, 화”로 선포합니다. 이는 단순한 문학적 표현이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하신 진노가 이제부터 더욱 가시적으로 드러날 것을 경고하는 엄숙한 외침입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이 땅에서 벌어지는 모든 재앙과 혼란 속에서도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합니다. 빛을 거절한 세상은 어두움 속에 방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주님은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요한복음 8:12). 우리가 이 어두운 시대에 주님의 빛을 따르며 살아간다면, 그 어떤 재앙과 심판도 우리를 빛의 자녀 된 자리에서 끌어낼 수 없습니다.


요한계시록 22장 6절과 7절은 우리에게 분명히 말합니다. “이 말은 신실하고 참된지라…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이 두루마리의 예언의 말씀을 지키는 자는 복이 있으리라.” 우리는 빛의 자녀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며, 재앙 가운데서도 믿음을 지키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그것이 진정한 승리요,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신자의 삶입니다.


끝으로 누가복음 21장 19절의 말씀을 기억합시다. “너희의 인내로 너희 영혼을 얻으리라.” 이 어두운 세상에서 인내하며 빛을 따라 걷는 자만이, 하나님의 심판을 넘어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 말씀이 오늘 우리의 심령에 깊이 새겨지고, 세상의 어두움 속에서도 꿋꿋이 주님의 길을 따르는 모든 성도님들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간절히 축원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90 다시 예언하라(요한계시록 10:11) 이진천 2025-04-02
89 작은 책을 먹은 요한의 체험(요한계시록 10:8–10) 이진천 2025-04-02
88 이루어질 하나님의 비밀(요한계시록 10:5–7) 이진천 2025-04-02
87 힘센 천사와 하늘의 음성(요한계시록 10:4) 이진천 2025-04-02
86 힘센 다른 천사와 작은 책(요한계시록 10:1절–3) 이진천 2025-04-02
85 회개하지 아니하더라(요한계시록 9:20-21) 이진천 2025-03-31
84 불과 연기와 유황의 군대(요한계시록 9:16-19) 이진천 2025-03-31
83 하나님의 심판과 그 주권(요한계시록 9:14-15) 이진천 2025-03-31
82 여섯째 나팔 재앙의 의미(요한계시록 9장 13-14) 이진천 2025-03-31
81 무저갱의 사자(요한계시록 9:11-12) 이진천 2025-03-31
80 황충의 형상 속에 감추어진 악의 본질(요한계시록 9:7-10) 이진천 2025-03-31
79 하나님의 경고와 자비(요한계시록 9:4-6) 이진천 2025-03-31
78 다섯째 나팔 재앙의 의미(요한계시록 9:1-3) 이진천 2025-03-31
» 네째 나팔 재앙의 의미(요한계시록 8:12-13) 이진천 2025-03-31
76 세째 나팔 재앙의 의미(요한계시록 8:10-11) 이진천 2025-03-31
75 둘째 나팔 재앙의 의미(요한계시록 8:8-9) 이진천 2025-03-30
74 첫째 나팔 재앙의 의미(요한계시록 8:6-7) 이진천 2025-03-30
73 향로에 담긴 기도(요한계시록 8:3-5) 이진천 2025-03-30
72 일곱째 인, 일곱 나팔(요한계시록 8:1-2) 이진천 2025-03-30
71 어린 양, 영원한 목자 되신 주님(요한계시록 7:17) 이진천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