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마태복음 6장 12절)

우리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 이 다섯 번째 간구는,
죄사함의 은혜에 대한 간구이자, 동시에 우리가 반드시 실천해야 할 용서의 의무를 함께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죄사함은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무엇보다 먼저 분명히 해야 할 사실은,
우리의 죄가 사함을 받는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근거한 것입니다.
이는 우리의 선행이나 공로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에베소서 1장 7절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죄사함은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
그분의 긍휼과 자비,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 위에 세워진 절대적인 선물입니다.


2. 그러나 우리가 다른 사람을 용서하지 않으면, 죄사함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께서는 이 간구에 한 가지 조건을 더하셨습니다.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곧, 우리가 다른 사람을 용서할 때에 비로소 하나님께 우리의 죄사함을 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매우 엄숙하고도 실제적인 진리입니다.

주님은 마태복음 6장 14-15절에서도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가 사람의 잘못을 용서하면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를 용서하시려니와,
너희가 사람의 잘못을 용서하지 아니하면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 잘못을 용서하지 아니하시리라.”

그러므로 용서받기 위한 필수적인 자세는 용서하는 마음입니다.


3. 용서는 신앙의 열매이며, 구원의 증거입니다

용서는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된 자로서 마땅히 실천해야 할 신앙의 표현입니다.
구원받은 사람은 반드시 용서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대신 다른 사람을 용서해주시지 않으며,
우리가 스스로 그 마음을 품고 실천하기를 원하십니다.
그러나 그 용서의 마음을 우리 안에 심어주시고 도우시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에베소서 4장 32절은 말합니다: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4. 예수님은 용서의 본을 보이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십자가 위에서도 자기를 못 박는 자들을 향해 이렇게 기도하셨습니다:

“아버지여,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눅 23:34)

우리에게 상처를 주고 아픔을 준 사람을 향해
그리스도의 마음으로 용서를 베푸는 삶이야말로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증거이며,
하늘의 상급을 받는 믿음의 삶입니다.


✦ 그리스도인은 죄사함을 받았지만, 날마다 회개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주기도문은 믿는 자를 위한 기도입니다.
즉, 이미 죄사함을 받은 사람도 여전히 날마다 죄를 짓는 존재이기에
날마다 회개하며 깨끗함을 구해야 한다는 영적 진리를 보여줍니다.

요한일서 1장 9절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우리가 구원받았다는 것은
단번에 모든 죄가 해결되었다는 의미이면서도,
날마다 하나님의 은혜 앞에 정결함을 유지해야 하는 신앙의 지속성을 의미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86 산상수훈(39) 권세 있는 말씀, 영원한 감동(마태복음7:28-29) 이진천 2025-03-22
85 산상수훈(38) 말씀을 듣고 행하는 신앙(마태복음7:21-27) 이진천 2025-03-22
84 산상수훈(37) 거짓 선지자를 분별하라(마태복음7:15-20) 이진천 2025-03-22
83 산상수훈(36)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마태복음7:13-14) 이진천 2025-03-22
82 산상수훈(35) 황금률, 신앙의 실천적 정수(마태복음7:12) 이진천 2025-03-22
81 산상수훈(34) 구하고, 찾고, 두드리라(마태복음7:7-11) 이진천 2025-03-22
80 산상수훈(33) 진리를 분별하여 전하라(마태복음7:6) 이진천 2025-03-22
79 산상수훈(32) 비판하지 말고 돌아보라(마태복음7:1-5) 이진천 2025-03-22
78 산상수훈(31) 염려 대신 하나님을 신뢰하라(마태복음6:25-34) 이진천 2025-03-22
77 산상수훈(30) 우리의 눈은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가?(마태복음6:22-24) 이진천 2025-03-22
76 산상수훈(29) 보물을 어디에 쌓고 있습니까?(마태복음6:19-21) 이진천 2025-03-22
75 산상수훈(28) 하나님 앞에서 금식하라(마태복음6:16-18) 이진천 2025-03-22
74 산상수훈(27) 하나님의 용서를 받기 위해(마태복음6:14-15) 이진천 2025-03-21
73 산상수훈(26) 주기도문의 송영(마태복음6:13) 이진천 2025-03-21
72 산상수훈(25)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마태복음6:13) 이진천 2025-03-21
» 산상수훈(24)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마태복음6:12) 이진천 2025-03-21
70 산상수훈(23)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마태복음6:11) 이진천 2025-03-21
69 산상수훈(22)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마태복음 6:10) 이진천 2025-03-21
68 산상수훈(21) 주기도문 2 나라가 임하옵시며(마태복음6:10) 이진천 2025-03-21
67 산상수훈(20) 주기도문 1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마태복음6:9) 이진천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