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시대 설교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매우 철학적이었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철학적인 방향으로 흐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당시 많은 이단들이 활동하고 있었고 교리적으로는 완전히 정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역교회들이 계속해서 세워지고 있었기 때문에 위협받고 있는 진리에 대하여 변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입니다.
특별한 형식을 가지고 설교를 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회중들은 당연히 설교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고, 성경이 일반적으로 보급이 되지 않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모임을 통해서 말씀을 공급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당시의 예배 상황을 설명하고 있는 저스틴 마터의 글에서는 ““ 주일이라고 하는 날에 도시나 농촌에 사는 사람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여서 시간이 허락하는 한에서 사도들의 언행록이나 대언자들의 글을 읽는다. 그 다음에 낭독자가 읽기를 멈추면 그 모임의 지도자가 말로써 가르치며, 이 선한 교훈들을 따라 살도록 권면한다. 그 다음에는 모두 함께 일어나 기도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 마디로 안정되지 못한 환경에서 교부들의 설교는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고, 변증학의 발달로 인하여 크게 안디옥과 알렉산드라아라는 두 개의 학파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 두 개의 학파는 결국 기존의 교회 전통과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 가는 집단으로 발전되어 갔습니다.
초대 교부들이 주로 철학적인 내용들로 설교를 이끌어 갔다면 터툴리안으로 대표되는 라틴 교부시대에 들어서는 철학과 신앙을 분리하려는 노력을 했습니다. 당시 헬라파 유대인들이 지나치게 철학적 사고로 신학 연구를 하는 것에 반발하면서 일어났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는데, 그 이유는 성경이 단순한 내용만 기록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깊이 있는 성경 공부를 위해서는 철학의 도움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교부시대를 대표하는 설교자를 한 사람 소개한다면 “황금의 입”이라는 별명을 가진 크리스토모스( chrysostomos)입니다. 그는 안디옥 학파에 속한 사람으로서 여러 권의 성경들을 조직적으로 설교하였고, 문자적 해석을 하였으며, 회중들에게 적절한 도덕적인 삶을 요구하였고, 특히 죄 문제에 대하여 선포하는데 두려움이 없었습니다. 그는 오늘날 설교자들에게는 매우 모범이 될 만한 설교자였습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우리에게 알려진 많은 설교자들은 대부분 철학적인 설교를 바탕으로 하였고, 성경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우화적으로 설명하는데 힘썼으며, 이러한 그들의 자세는 결국 로마 종교와 연합을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교부시대가 결코 절망적인 것은 아니었습니다.
안디옥 학파를 중심으로 한 설교자들은 대부분 음지에서 활동을 하였고, 꾸준히 그리스도인의 수를 늘여가면서 자칫 사라질 수도 있는 진리를 보전하는데 힘썼습니다. 교부시대의 이러한 양상들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진리를 보전하려는 근본주의 교회들과 철학적인 사고로 새로운 기독교의 역사를 만들려는 신복음주의자들의 교회들이 존재합니다. 교부시대에도 알렉산드리아의 학파들이 대중들에게 많은 호응을 받았듯이 오늘날에도 신복음주의자들은 대중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교부들의 시대를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순수한 진리는 새로운 것들을 찾아 나서는 것이 아니라 이미 기록된 말씀을 보존하는데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기억해야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