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시대라 함은 남쪽 유다 왕국이 바벨론에 의해 멸망을 당한 이후부터 침례요한의 사역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물론 이러한 구분에 대하여는 보는 이들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설교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이 시기를 중간시대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유다 왕국이 멸망을 당한 후 왕족과 제사장들을 비롯한 지도자들과 인재들을 바벨론의 포로로 끌려갔고, 민족은 핍박과 혼란을 피해서 여러 지역으로 흩어졌습니다. 그러나 그들에게 있어서 비록 민족은 멸망을 당했지만 하나님을 경배하는 모임을 중단할 수는 없었습니다. 그들은 안식일을 지켜야만 했고, 그들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말씀, 즉 율법을 가르치고 행하는 일들을 중단할 수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회당입니다. 그들은 회당에서 하나님께 경배를 하였고, 성경공부를 했습니다.
사도 바울이 전도여행을 하면서 주로 찾았던 장소가 회당이었습니다. 그가 회당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것으로 보아 회당은 틀에 박힌 형식적 모임보다는 오히려 자유롭게 토론하는 분위기에서 예배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어찌보면 오늘날의 예배 형식보다는 성경공부에 가까웠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오늘날 교회 안에서 드리고 있는 예배의 형태가 회당에서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오고 있는 형식과 같다고 주장합니다. 그 때에도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토론하듯 진행이 되지만 일정한 예배 순서를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회당장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예배 인도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당시 회당의 역할은 학교로서의 기능과 교인들의 모임, 그리고 지역 사람들의 모임 장소로도 사용되어졌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교회가 다양한 모임들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흡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가장 발전된 것은 오늘날의 성경교사와 같은 역할을 했던 랍비들이 가르쳤던 탈무드와 같은 것들인데, 그 내용들을 살펴보면 율법을 보다 확대하여 풀어놓은 지침서와 같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치 오늘날 설교자들이 성경을 회중들에게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풀어놓은 해설서와도 같은 것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유대인들에게는 이 해설서들이 성경 못지않은 위치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분명한 사실은 중간시대 회당에서의 가르침은 오늘날 지역교회에서 행해지고 있는 형식들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며, 설교자들과 회중들 역시 비슷한 형식으로 모임에 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확실한 차이가 있다면 회당은 모세, 즉 율법을 소개하고 있지만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소개한다는 것입니다. 회당 안에서 설교자는 언제나 율법을 어떻게 하면 바르게 알고 지킬 수 있는지에 관하여 말하지만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안에서 구원을 받도록 하는데 설교의 목적이 있습니다. 교회를 이해하는데 회당은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다른 것이 있다면 설교자들과 회중들의 구성원이 다르며, 그 내용도 다르다는 사실입니다. 회당이 지역교회를 세우기 위한 하나님의 계획이었다고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